본문 바로가기

전문가칼럼

[박인애의 소소하고 담담한 이야기 ‘소담 한꼬집’ ] 그리고 맑음

페이지 정보

작성자 DKNET
문화 댓글 0건 조회 1,903회 작성일 22-05-27 10:27

본문

밖이 조용해진 걸 보니 비가 멎은 모양이다. 

모처럼 시원하게 비가 왔다. 종일 뼈마디가 쑤시고 다리가 저렸지만, 오랜만에 듣는 빗소리가 좋았다. 빗줄기는 굵기와 세기 그리고 어디로 떨어지는가에 따라 소리가 다르고 누구와 듣느냐에 따라 느낌도 다르다. 나는 양철로 된 빗물받이에 떨어지는 빗소리가 좋다. 경쾌한 그 소릴 듣고 있으면 김연수 소설 『사월의 미 칠월의 솔』의 한 대목이 생각난다. 

 

“요즘 같으면 어디 파타고니아나 마케도니아 같은 곳으로 도망쳤을 텐데, 그때는 외국으로 나갈 수가 없었던 시절이니까 나름 갈 수 있는 한 가장 먼 곳까지 간 셈이지. 그렇게 서귀포시 정방동 136-2번지에서 바다 보면서 3개월 남짓 살았어. 함석지붕 집이었는데, 빗소리가 얼마나 좋았는지 몰라. 우리가 살림을 차린 사월에는 미 정도였는데, 점점 높아지더니 칠월이 되니까 솔 정도까지 올라가더라. 그 사람 부인이 애 데리고 찾아오지만 않았어도 한 시 정도까지 올라가지 않았을까. 그 석 달 동안 밤이면 감독님 품 안에서 빗소리 들으면서 누워 있었지.”

 

함석지붕 위로 떨어지던 빗소리를 기억한다. 얼마나 요란한지 잠을 이룰 수 없을 정도였다. 몸이 고달파지면 비가 오거나 말거나 어느 순간 그 소리를 베고 잠이 들기도 했지만, 엄청난 소음이었다. 그런데 소설 속 이모는 그 빗소리에서 음악 소릴 듣는다. 사랑하는 사람이 곁에 있으니 두려울 것도 없고, 열악한 환경이어도 행복했던 모양이다. 사랑에 빠지면 눈이 멀고 귀가 닫히기도 하니까. 그러나 그 사랑은 현실에 부딪혀 오래가지 못했다. 

수없이 많은 빗소리 중에 기억 속을 떠나지 않는 내 유년의 빗소리는 낮고 슬프다. 징글맞을 만도 한데 여전히 그 궁상맞은 빗소리가 좋다. 사연은 다르지만, 누구나 인력으로 떼지 못할 기억 하나씩은 품고 사는 것 같다. 그게 행복이든 불행이든 말이다. 

 

블라인드를 열고 흐린 하늘과 젖은 거리, 창문에 부딪혀 흘러내리는 빗물을 바라보았다. 일이 산더미처럼 쌓였는데 책상에 진득하게 앉아 있질 못하고 자꾸 창밖을 기웃거렸다. 결국, 밖으로 나갔다. 빗줄기가 제법 굵었다. 내 안에 덜 자란 계집애가 하늘 향해 얼굴을 들었다. 그리고 맨발로 비를 밟았다. 감각 없는 오른쪽 발이 얼어붙는 것 같았다. 냉장고 티셔츠는 이름값을 하느라 물에 닿으니 소름이 돋을 만큼 서늘했다. 

 

소나기가 와도 학교에 우산을 들고 와 줄 엄마가 없어 온몸으로 비를 맞아야 했던 계집애는 그 비가 시원했다. 눈물을 들키지 않아 좋았고 속상한 마음이 씻겨 내려가는 것 같아 좋았다. 모든 게 편해진 지금도 여전히 비를 기다리는데 몸이 마다한다. 그래서 배려심 많은 하늘이 내가 집을 비울 때만 우리 동네로 비를 보내는 모양이다. 

 

빗소리는 추억을 소환한다. 춥고 쓸쓸하고 걱정되고 무섭고 외로운 기억이다. 사람이 기억할 수 있는 최초의 시점은 어디쯤일까. 어떤 기억은 꿈인 듯하고 어떤 기억은 너무나 선명하여 어제 일인 듯하다. 나이가 든 지금도 간간이 꿈에 보이기도 하고 꿈속의 나는 여전히 힘없는 어린아이여서 할 수 있는 게 없다. 이젠 말끔하게 멎은 비처럼 내 안에 내리는 비도 개었으면 좋겠다. 

 

2020년 10월, 김정숙 시인이 우리 집 앞에 화분 두 개를 갖다 놓고 가셨다. 분홍색과 흰색 무궁화였는데 가지가 얼마나 가늘고 말랐던지 이게 살아날까 싶을 정도였다. 10월이 심는 시기로는 적기라 하여 땅으로 옮겨 심었다. 분홍색은 안타깝게도 백 년 만에 찾아온 한파를 견디지 못해 죽었고 흰색은 살아나 작년에 꽃을 피웠다. 그 무궁화는 30여 년 전 라디오코리아 원창호 씨가 한국에서 가져온 것이다. 어느 날 그분이 방송에서 꺾꽂이한 무궁화를 나눠준다는 소리를 듣고 김정숙 시인이 갔는데, 이미 많은 사람이 줄을 서 있어서 간신히 받아왔단다. 성냥개비보다 조금 긴 가지 두 개를 얻어와 기른 게 잘 자라서 이미 여러 집에 분양해 주었고 마침내 우리 집까지 온 역사와 전통이 있는 꽃이다.

 

이듬해에 화원에 갔다가 분홍색 무궁화가 들어왔길래 사서 그 자리에 다시 심었다. 봄이 되니 새순이 돋기 시작했다. 틈이 보이지 않을 정도로 잎이 무성해지더니 이틀 전에 꽃이 여섯 송이나 피었다. 뭉클했다. 이국땅에서 보는 무궁화는 꽃이 아니라 가족 같았다. 어쩌면 그리도 곱던지 눈을 뗄 수 없었다. 흰색 무궁화도 꽃봉오리가 맺히기 시작했다. 키도 훌쩍 자랐다. 작년에 몇 송이 피긴 했어도 가지가 너무 여려서 잘 클지 걱정이 되었는데, 이제 괜찮을 것 같다. 낯선 땅에 뿌리내리느라 얼마나 힘들었을까. 살아주어서 얼마나 고마운지 모르겠다. 

 

두 녀석이 비를 맞아 초록초록해졌다. 무궁화 꽃은 이른 새벽에 활짝 피었다가 저녁이 되면 꽃잎을 돌돌 만 채 툭 떨어진다. 하와이 주화인 히비스커스랑 비슷하다. 떨어진 꽃을 말려 차도 끓이고 먹기도 한다는데 아직 해보진 않았다. 무궁화는 ‘영원히 피고 또 피어서 지지 않는 꽃’이라는 뜻을 지녔다. 한그루에서 이삼 천 개의 꽃이 피고 진다 하니 그럴 만도 하다. 무궁화는 강인하다. 어느 땅에서나 뿌리를 내리고 성실하게 사는 우리 민족처럼 잘 자라고 꺾꽂이해도 번성하니 국화가 된 데는 다 그만한 이유가 있는 것이다. 

 

비를 맞았으니 나도 무궁화처럼 강해질 수 있을까?

 

박인애

시인, 수필가


Warning: Use of undefined constant php - assumed 'php' (this will throw an Error in a future version of PHP) in /home/dk/dalkora/theme/basic/skin/board/false9_thumb_column/view.skin.php on line 176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