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문가칼럼

‘안동역’과 텍사스 정전

페이지 정보

작성자 DKNET
문화 댓글 0건 조회 3,335회 작성일 21-03-12 09:44

본문

오랜만에 내린 눈다운 눈을 보며, 문정희의 <한계령을 위한 연가>를 읊조리고, 진성의 <안동역>을 흥얼거릴 때 까지만 해도 좋았다. 

첫눈이 내리는 날 안동역 앞에서 만나자고 했던 사람이 눈이 무릎까지 찼는데도 안 온다는 안동역 가사는 뭔지 모르게 김소월의 <진달래>처럼 애잔한 기다림의 미학까지 느껴져 웬만한 시 보다 낫다는 소리를 해가며, 남편과 함께 김치찌개와 소주로 저녁을 먹을 때 까지만 해도 눈오는 날의 정취가 물씬 났다. 

눈이 귀한 텍사스에서 강산이 몇 번 변할 동안 살면서, 진눈깨비만 내려도 와! 눈이다 하고 흥분하던 예전 아들들처럼 나 역시 눈만 오면 사진을 찍어 여기저기 전송하고, 간만에 용도가 확실하게 생긴 어그부츠를 신고 집 안팎을 돌아다니며, 새밥을 걱정하고, 화분을 거라지 안으로 옮기는 등, 수선을 있는 대로 떨때만 해도 우리가 전 세계 뉴스거리가 된 텍사스 한파의 불행한 주인공이 될 줄은 몰랐다. 

텍사스에 겨울 낭만이 없는 것은 순전히 눈이 오지 않는 탓이라 여기며, 이번기회에 그동안 밀린 눈을 실컷 구경하며 팬데믹으로 겨울여행조차 가지 못한 것을 집안에서 야무지게 보내리라 했던 작심은, 몇 시간 뒤 하염없이 사라지게 되었다.  

 

그날 새벽, 목이 말라 눈을 떴을 때 집안에 불빛이 없다는 걸 느꼈다. 잠들기 전에 거실의 스탠드는 항상 켜놓았는데, 그 불도 꺼져있어 잠깐 남편이 전기세 절약한다고 끈 줄로만 알았다.

하지만 냉장고 빨간 숫자를 비롯한 전기와 연결된 집안의 모든 숫자들이 다 꺼져있다는 걸 아는 데는 그리 오랜 시간이 걸리지 않았다. 그러고 보니 멀리 언덕 위 동네도 불빛 한 점이 없었다. 

그래도 정전 첫날 아침까지는 히터의 온기가 남아있어서 견딜만 했다. 부르스타로 물을 끓여 캠핑용 커피주전자에 커피를 끓여 마시며, 요즘 유행하는 차박 왔다 셈치자하고 농담까지 해가며, 곧 전기가 돌아오겠지 하고 유유자적 했다. 그때 까지만 해도 한파가 아닌 겨울 추위였다. 

그런데 전기는 그날 밤이 되어도 돌아오지 않았다. 낮 동안 냉골이었던 집안공기가 본격적으로 피부에 와닿기 시작했다. 저녁을 일찍 먹고 집안에 있는 초란 초를 다 꺼내놓고 불을 붙였다. 비상시를 대비해서 사놓은 랜턴이 참으로 도움이 되었다. 

그 가느다란 양초의 온기가 조금이라도 도움이 될까 싶어, 안방에만 대 여섯 개를 켜놓았더니, 새벽이 되니 매캐한 냄새로 숨을 쉴 수가 없었다. 특히 오래된 양초는 타들어갈수록 냄새가 심해 다 불을 꺼버렸다. 

 

정전 이틀째가 되자 어쩌면 정전이 장기전으로 갈지 모르겠다는 불안이 엄습했다. 집 앞 길은 이미 빙판이 되어 운전을 하고 다닐 수도 없었다. 다행이라면 식량은 한 달은 파먹을 만큼 있었다. 

멀리 플레이노에 사는 친구부부가 오라고 했지만 가는 데만 몇 시간이 걸릴 것 같았다. 오스틴에 사는 작은 아들에게 전화를 했더니 역시 그곳도 정전 도시로 변해서, 이웃들과 집 앞에서 불 피울 나무를 구하고 있다고 했다. 

수도자처럼 딱 필요한 물건만 갖추고 사는 녀석인지라 이불도 한 채 뿐인데, 밤이면 어떻게 잘까 싶은 것이, 우리가 추운 것 보다 더 맘이 쓰였다. 최대한 옷을 두껍게 입고 자라고 신신당부를 하면서, 뜨거운 물을 많이 마시라고 하나마나한 소리만 했다.

 

자다가도 너무 추우니 깊은 잠이 안 들었다. 그럴 때마다 간첩처럼 이불 안에서 휴대폰을 켜고 유튜브로 최근 DFW 지역뉴스를 검색해보았는데 여자 앵커가 언제 블랙아웃이 끝날 거냐고 앙칼지게 물어도 주지사나 텍사스 전력위원회 회장은 버벅거리기만 할 뿐 확실한 날짜를 말하지 않았다. 

수백명의 정전 피해자들의 댓글이 그나마 내 마음 같아 위안이 되었다. 한국이나 미국이나 정치인들은 핑계될 구실만 찾고, 그 피해는 고스란히 주민들이 안는 것은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여전하다. 

게다가 수도관까지 동파되어 울부짖는 흑인 할머니 영상을 보니, 영하 18도의 한파가 정말 사람의 생명까지 위협할 수 있는 심각한 재난이란 사실이 절감되었다.

 

사람이 너무 편하게 살면 모든 관심이 자신에게로만 향해 주변이 잘 보이지 않는다고 한다. 이번 한파를 겪으면서 혹독하게 겪은 것은 추위 뿐만이 아니다. 걱정을 해주는 이웃도 많은 반면, 이웃의 정전을 강 건너 불 보듯이 보는 무심한 이웃들도 더러 보았다. 

가장 어이 없었던 것은 ‘봄이 왔네’ 하는 무 개념한 글이나 동영상을 보내는 단톡을 보았을 때이다. 

추위에 마음이 오그라든 탓인지, 아니 저 사람들은 텍사스 한파에 사람이 죽었다는 뉴스도 못 보았나 싶기도 했고, 정전을 못 겪었다 할지라도 정전에 처한 이웃들의 추위가 1도 공감 되지 않는 저 비현실적인 공감력의 정체는 무엇일까가 심히 궁금해지기도 했다. 

허긴 정말 공평하게 모든 텍산들이, 아님 전 미주가 정전시간을 공유했다면, 상황은 달라졌을지도 모른다. 

 

4일간의 정전이 끝난 다음날은 거짓말처럼 화창했다. 설거지를 하면서 안동역을 다시 흥얼거리자, 남편 왈, 그 노래 들으면 지나간 ‘정전의 외상’이 떠오른다며 웃는다.

수상한 바람 한 점이 허리케인을 몰고 오듯이 이제 우리집에서 안동역은 정전을 예측하는 금지곡이 되어 버렸다. 당분간은 ‘한파 트라우마’ 때문에 눈이 내린다고 무조건 좋아하게 될 것 같지가 않다. 

그나마 남아있던 마지막 동심을 앗아가 버린 얄미운 한파가 다시 재발 되지 않기를 바라며, 기후이변의 원인엔 나도 한 몫 했다는 자각을, 플라스틱 컵 하나라도 덜 쓰며 실천해야 하겠다. 

 

박혜자

미주작가 / 칼럼리스트      



Warning: Use of undefined constant php - assumed 'php' (this will throw an Error in a future version of PHP) in /home/dk/dalkora/theme/basic/skin/board/false9_thumb_column/view.skin.php on line 176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