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리빙트렌드

[ISSUE]“당신은 유튜브를 얼마나 믿습니까?”

페이지 정보

작성자 DKNET
리빙트렌드 댓글 0건 작성일 23-07-31 17:22

본문

유튜브 시청에 많은 시간을 소비하는 현대인이 적지 않다. 유튜브에는 다양한 컨텐츠가 있어서 기호에 따라서 골라 볼 수 있다. 

유튜브로 돈을 버는 유튜버가 이미 직업군으로 자리매김을 한지는 오래다. 

유튜브 채널 구독자 수는 수입과 직결된다. 유튜버들은 슈퍼챗 외에도 후원 계좌를 통해 후원금을 받고, 조회수에 따른 광고수익까지 얻는다. 

자극적이고 공격적인 콘텐츠를 만드는 건 구독자 수를 증가시키는 한 방법이다. 

한 전문가는 “유튜버가 극단적인 콘텐츠를 자꾸 생산하는 이유는 장사가 되기 때문”이라며 “이용자의 선택을 받아야 경제적인 수익을 낼 수 있기 때문에 계속 자극적인 콘텐츠가 생산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유튜버는 구독자를 만족시키기 위해 극단화된 콘텐츠를 양산하고, 구독자는 이런 내용을 반복적으로 접하며 검증되지 않은 정보를 진실로 믿는 악순환의 고리가 형성된다. 

언론과 유튜브는 다르다. 

게이트키핑(뉴스미디어 조직에서 뉴스가 적절하게 선택되는 과정) 기능이 없기 때문에 가짜뉴스나 허위 정보를 이용자에게 제공할 가능성이 크다. 

한 전문가는 “언론은 게이트키핑 기능이 있지만 유튜브 등 1인 미디어는 그런 게 없으니 소문을 사실로 착각하는 경우가 많다”며 “게이트키핑 기능이 없는 유튜브에서 걸러지지 않은 잘못된 정보가 소셜미디어(SNS)를 통해 급속하게 퍼지면 이용자는 정보를 사실로 믿어버리게 된다”고 우려했다.

하지만 가짜뉴스나 허위 정보를 퍼뜨리는 유튜버를 제재하기는 쉽지 않다. 명예훼손으로 소송하더라도 이는 민사소송으로 판결을 받으려면 시간도 오래 걸리고 비용도 많이 든다.

한편 무심코 본 유튜브가 피싱 범죄로 이어질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하기도 하다. 한국에서는 최근 유튜브에서 은행직원을 사칭해 금융상품을 홍보하는 것처럼 가장한 후 가짜 은행 사이트로 유도해 돈을 뜯어내는 범죄가 유행해 피해자가 다수 나오기도 했다. 

 

▶▶▶ 알고리즘에 갇힌 생각 

유튜브는 수많은 크리에이터들이 만든 영상을 누구나 쉽게 검색하고 무료로 시청할 수 있는 공간이다. 하지만 실상 우리는 유튜브가 보여주는 영상만 시청하고 대다수의 영상은 스스로 찾고자 하는 의지가 없다면 확인하기 어렵다. 이는 알고리즘의 폐해다. 

알고리즘이 유튜브를 사용할 때 연관 영상을 찾아주어 편리하게 관심분야를 접할 수 있게 하지만 의식적으로 경계하지 않으면 자신도 모르게 편향되거나 심지어 거짓 주장을 담은 영상에 함몰될 우려가 있다는 것이다.

자기가 믿고 싶은 것을 뒷받침해줄 정보만 좇는 행위를 ‘확증편향(Confirmation Bias)’이라고 한다. 16세기 코페르니쿠스의 지동설, 19세기 찰스 다윈의 진화론도 발표 당시엔 사회 전체의 확증편향과 충돌했다.

유튜브가 가져온 사회문제 중 가장 우선으로 꼽는 것이 알고리즘으로 인해 확증편향을 야기한다는 것이다. 확증편향은 가짜뉴스를 양산해 낸다. 

필터링 된 정보 속에 보고 싶은 것만 보려하는 사람들은 가짜뉴스에 빠지기 쉽다. 이는 편협적인 사고로 이어지고 나와 생각이 다른 이를 배척한다. 심화되는 남녀간, 세대간, 종교간, 정치성향간 갈등은 인터넷의 발달과 선을 같이 한다. 검열과 통제가 없는 유튜브는 수익창출에 혈안된 크리에이터들이 영상을 조작하고 편집해 유포하는데 훌륭한 플랫폼이 되고 있다.

유튜브 알고리즘 개발자 역시 자동추천 기능의 문제점을 지적하며 추천기능 끄기를 권한다. 

구글의 전 직원은 모든 SNS의 알고리즘은 사용자의 편리성이 아니라 중독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설계한 것이라고 폭로했다. 

게다가 유튜브는 글이 아닌 영상으로 콘텐츠를 전달하기에 이용자를 현혹하는데 더 유리하다. 글은 읽으면서 상상과 비판이 가능하지만 쉴 새 없이 시각을 자극하며 제시되는 영상은 사고의 틈을 주지 않는다. 

 

▶▶▶ ‘문제 콘텐츠 삭제 않겠다’ 입장 바꾼 유튜브 

뉴욕대학의 연구팀은 유튜브의 추천 알고리즘이 2020년 미 대통령 선거 때 잘못된 정보를 퍼뜨리는 역할을 부분적으로 수행했다는 것을 발견했다. 

연구진은 2020년 10월 29일~12월 8일 사이 361명의 유튜브 이용 현황을 분석했는데 유튜브 추천 알고리즘이 사용자들을 선거에 관한 허위 주장에 관한 콘텐츠로 향하게 했는지를 파악했다.

결과를 보면 선거의 정당성에 회의적인 사람들은 선거 부정에 관한 콘텐츠를 3배 더 많이 추천받았다. 이 연구를 이끈 제임스 비스비 박사는 이렇게 결론 내렸다. “온라인 정보 환경이 사용자 선택에 의해 결정된다는 견해에 의문을 던지는 결과다.” 사실상 추천 알고리즘이 해롭다는 뜻과 다름없었다. 이 연구결과를 두고 유튜브 측은 발끈했다. “샘플 크기가 작아 우리의 시스템이 어떻게 작동하는지 정확하게 보여주지 못한다”고 반박했다.

최근 미국에서는 플랫폼 회사의 책임을 둘러싸고 갑론을박이 벌어지고 있다. 

주목할 만한 판결이 나와서다. ‘곤잘레스 대 구글’이라고 불리는 사건인데 2015년 프랑스 파리에서 발생한 이슬람국가(IS) 테러 사건 유족들이 소셜미디어(SNS) 업체들의 책임을 묻기 위해 낸 소송이다. 

대상은 트위터·페이스북·유튜브 등의 플랫폼 기업이다. 특히 유튜브는 알고리즘을 통해 일부 사용자에게 IS 신병 모집 동영상을 추천했다는 이유로 소송 대상이 됐다.

이 소송에서 다루는 핵심은 통신품위법 230조다. 230조는 플랫폼 사업자들의 면책특권을 보장하고 있다. 

1996년 제정된 이 조항은 인터넷 플랫폼 사업자를 ‘발행자’가 아니라 중개사업자로 규정한다. 

제3자가 올린 콘텐츠에 대해서 플랫폼이 법적 책임을 지지 않는 근거가 됐다. 다만 이 법이 만들어졌을 때는 플랫폼 사업의 태동기였다. 이제 막 사업을 시작하는 기업들이 뜻을 펼치기도 전에 소송에 휘말리지 않도록 하려는 의도도 있었다.

지난 5월 18일 연방대법원은 소셜미디어 기업의 손을 들어주는 판결을 내렸다. 플랫폼 업체들이 IS 테러에 기여했다는 원고 측 주장을 기각했다. 

면책권을 여전히 폭넓게 인정한 셈이다. 곤잘레스 사건을 두고 대법원은 “추천 알고리즘은 플랫폼의 모든 콘텐츠를 거르고 관리하는 인프라의 일부일 뿐이다”라고 판단했다.

이런 면책은 플랫폼이 보다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게 한다. 유튜브 등은 자율규제를 시행하고 있고 따라서 회사의 판단이 중요한 잣대다. 

대법원의 판단이 내려지고 한 달이 채 지나지 않은 지난 6월 2일, 유튜브는 부정선거 콘텐츠에 대해 기존과 다른 정책을 내놓았다.

근 두 번의 대선에서 가짜뉴스와 극단적인 콘텐츠 때문에 투명성에 대해 압박받던 유튜브는 2020년 12월 미 대선 이후부터 ‘선거 무결성 정책(election integrity policy)’을 고수해왔다. 허위정보가 담긴 콘텐츠가 확인될 경우 즉각 삭제하는 조치를 말한다.

그런데 이제는 이런 콘텐츠를 삭제하지 않는 쪽으로 전환했다. 유튜브는 자사의 블로그를 통해 “우리는 이런 콘텐츠를 제거하는 것이 일부 잘못된 정보를 억제할 수 있지만 정치적 발언을 감소시키는, 의도치 않은 효과를 가져오고 있단 걸 알게 됐다”고 그 이유를 설명했다. 

IT전문매체 테크크런치는 “2024년 대선을 앞두고 경선이 준비되는 상황에서 유튜브가 이런 발표를 하는 것은 이상한 선택”이라고 지적했다.

좋은 콘텐츠를 활성화하고 성장하고 건강한 생태계를 만들어야 하지만 유튜브도 사회도 손을 놓고 있다. 

결국 이를 해결할 키는 이용자가 쥐고 있다. 

스스로 정화 작업에 참여해 자극적이고 편협한 콘텐츠는 걸러내고 좋은 콘텐츠를 선택하는 습관을 길러야 한다. 다양한 의견을 받아들일 수 있는 능력도 갖춰야 한다. 분별력이 절실히 필요한 세상이다. 

 

리빙트렌드 편집팀 



Warning: Use of undefined constant php - assumed 'php' (this will throw an Error in a future version of PHP) in /home/dk/dalkora/theme/basic/skin/board/false9_thumb_trend/view.skin.php on line 177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